중국 서안 진시황릉 병마용갱(兵马俑坑)
1974년 중국 서안 외곽의 시골마을에서 우물을 파기 위해 땅을 파던 농부에 의해 발견되었다. 양취위안이라는 농부는 땅속에서 발견된 도기인형의 조각과 쇳조각을 보고 이 사실을 신화사통신 기자(린안인)에게 알렸다. 이후 인민일보을 통해 보도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산시성 고고학발굴팀은 1974년 7월 15일부터 본격적인 발굴작업에 착수하였으며, 7월 21일 진시황릉에 딸린 병마용갱임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발굴이 시작되어 현재까지 총면적 25,380m2에 달하는 4개의 갱이 발굴되었으나 그 중 4호갱은 완성되기 전에 폐기된 빈 갱도였다.
▲진시황병마용박물관
▲진시황병마용박물관
▲진시황병마용박물관
아직 완전히 발굴되지 않은 1호갱은 길이 210m, 너비 60m, 깊이 4.5~6.5m의 총면적 12,000m2로서, 본래 이 갱 위에는 길이 10m, 넓이 9칸의 회랑식 건축이 있었으나 불타 없어졌다고 한다. 매장된 전체 도용은 약 6,000개로 추정되지만, 진나라로 쳐들어온 항우에 의해 많은 도용들이 파괴되어 정확한 갯수의 파악은 어렵다. 도용의 크기는 1.75~1.96m, 도마용은 높이 1.5m, 길이 2m로 실물보다는 조금 크게 만들어졌다. 병사들은 겉옷만 입은 것과 겉옷 위에 갑옷을 입은 병사로 구분되어 있다. 무장한 무사의 엄격한 표정은 모두 다르게 생겼다. 도용들이 만들어질 당시에는 모두 컬러로 채색된 도용이었으나 발굴과정에서 햇빛에 노출되자 불과 몇시간만에 모두 색이 바래버렸다.
1976년 4월 1호갱의 동북쪽 20m떨어진 곳에서 또 하나의 병마용갱이 발견되었다. 이 병마용갱을 2호갱이라고 부르며 약 6,000m2의 넓이이며 길이는 96m, 폭은 84m이다. 갱도는 정방형인 1호갱에 비해 L자 형으로 생겼다. 2호갱 역시 완전히 발굴이 완료되지 않았으며 부분적으로 발굴되었다. 89대의 목제 전차와 이를 끄는 마용 356건, 기병용 116건, 안마 116건, 보병용 2000건이 발견되었다. 병사가 도열해 있는 1호갱과 달리 2호갱은 궁노병, 기마병, 전차병이 포진하고 있다.
▲진시황릉 모형
▲진시황 병마용박물관 모형
▲진시황 병마용갱
1976년 5월 11일에는 1호갱 서북쪽 25m 떨어진 지점에서 520m2 넓이의 3호갱이 발견되었다. 3호갱은 군사 지휘부로 추정되는데, 장군의 것으로 보이는 채색된 전차 1량과 갑옷 입은 보병용 64건, 마용 4건이 출토되었다. 이 밖에도 진시황릉 서북측에서 동마용과 동용이 딸린 대형 동전차가 1대 발견되었다.
병마용이란 흙으로 빚어 구운 병사와 말을 가리키는데, 불멸의 생을 꿈꿨던 진시황이 사후에 자신의 무덤을 지키게 하려는 목적으로 어마어마한 규모로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세계 8대 불가사의로 꼽힐 만큼 거대한 규모와 정교함을 갖추고 있다. 서안 시내에서 동북쪽으로 약 30km, 진시황릉에서 북동쪽으로 1.5㎞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진시황 병마용갱
▲진시황 병마용갱
▲진시황 병마용갱
현재까지 3개의 갱이 발견되었으며 700여개의 실물 크기의 도용(陶俑)과 100개가 넘는 전차, 40여필의 말, 10만여개의 병기가 발굴되었다. 병기들 대부분이 실제무기이며 현재는 창고에 보관 중으로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 도용들은 모두 제각기 다른 자세와 표정, 복장, 헤어 스타일을 갖고 있어 그 섬세함에 감탄이 절로 나온다.
병마용갱은 총 3개의 전시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1호갱은 당시 농민이 처음 발견한 것이고, 후에 2, 3호갱이 발견되었다. 1호갱은 세 곳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동서 길이가 약 230m, 남북으로 약 62m로 총 면적이 12㎢ 정도이다. 1호갱은 동서 쪽을 향한 긴 모양으로 장군과 병사가 배열되어있고, 2호갱은 면적이 약 6000㎡이며, 보병과 기병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2호갱은 발굴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시되어 있다. 3호갱은 면적이 520㎡으로 凹모양이며, 병마용들은 양쪽으로 늘어서 있다. 역시 현재까지도 발굴 작업이 진행중이다. 학자들은 발견된 3개의 갱 외에도 진시황릉 근처에 아직 발굴되지 않은 더 많은 병마용갱이 묻혀 있을 거라고 보고있다.
▲진시황 병마용갱
▲진시황 병마용갱
▲진시황 병마용
중국 고고학자들은 발굴과정에 능묘의 주위에 순장갱과 순장묘, 능묘 건설인들의 묘지 500여개가 분포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순장갱은 진시황이 타고 다니던 동차와 말의 갱, 궁정 말을 길렀음을 상징하는 마구간갱, 진나라 백만 용사들을 상징하는 병마용갱 등으로 되어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병마용갱에서 무사토용(武士陶俑) 500개, 나무로 만든 전차 18대, 토마 100여필을 출토했다. 이런 토용의 신장이 평균 1.8미터 높이로 체구가 크고 표정이 각 지게 하여 진나라의 높은 조각 예술 수준을 보여주었다.
병마용은 세계 각국 인민의 사랑을 받아 많은 국외 관광객들이 먼 길을 마다하지 않고 병마용으로 찾아오고 있다. 일부 나라 정부 공무원들도 중국 방문 시 병마용 참관을 제의하고 있다. 미국 레이건 전 대통령은 병마용을 인류의 위대한 기적이라고 칭찬했다. 문물 보호 기술의 부족과 진시황릉을 더욱 잘 보호하기 위한 중국 정부의 조치 등 원인으로 아직 진시황릉의 주체릉에 대한 발굴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
▲진시황 병마용갱
▲진시황 병마용갱
▲진시황 병마용갱
근간 능묘의 순장갱에서 동 마차와 같은 진귀한 보물을 포함한 50,000여점의 중한 역사문물을 출토되었다. 동 마차는 1980년에 중국의 고고학자에 의해 발견되었다. 동 마차의 주체는 청동으로 만들어 졌고 일부 부속품은 금과 은으로 장식했으며 각 부위는 기계연접공예로 조립했다. 동 마차의 설계는 정교하고 크기는 실물의 1/2로 되어 있으며 실물에 기초하여 모조한 것으로 진시황이 타고 다니던 풍채를 그대로 살렸다. 이런 순장품의 내포와 중국역사책에 기재된 역사자료에 근거하여 진시황릉은 당시 진왕조의 재현으로 진시황이 죽어서도 자기의 통치를 계속하려는 야심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그가 죽은 지 3년 만에 진나라는 농민봉기에 의해 뒤집히고 말았다.
중국 제왕릉 가운데 규모가 제일 크고 매장된 보물이 제일 많은 이 능묘는 2000 년간 보존되어 왔다. 진시황릉의 거대한 역사 가치에 근거하여 1987년 유네스코는 진시황릉을 세계문화유산에 수록했다. 세계의 8대 경이 중의 하나로 꼽히기도 하는 이 병마용들은 하나하나가 모두 훌륭한 예술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 이 병마용들은 진시황 친위군단의 강력한 위용을 과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진나라의 군사편제 ·갑옷 ·무기 등의 연구에도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 아울러 일부 도용에서 확인되는 북방 민족의 두발형식은 친위군단의 민족적 구성을 짐작하게 한다.
▲진시황 병마용갱
▲진시황 병마용갱
▲진시황 병마용갱
최근 중국재야 고고건축학자인 천징위안(陳景元)씨는 중국 고고학계가 지난 30여년간에 걸쳐 확립한 연구 결과를 송두리째 부정하고 "병마용은 진시황의 친위군단이 아니라 선태후가 진정한 주인"이라는 충격적인 주장을 내놓았다.
출토된 대부분의 병마용이 투구를 쓰지 않은 형상을 하고 있는데 일반 사병들도 갖췄던 투구를 천하를 통일했던 진시황의 친위군단이 착용하지 않았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것이다. 또 병마용의 의상이 빨간색과 보라색이 주조를 이루는 것도 천징위안이 '진시황의 병마용'을 부정하는 중요한 논거의 틀이다. 검은 색을 숭상하도록 법령으로 공포할 만큼 검은색을 선호했던 진시황이 자신과 함께 순장시킬 무사용들의 의상에 현란하게 채색하도록 허용했을리 만무하다는 얘기다.
▲진시황 병마용갱
▲진시황 병마용갱
고고학계가 전차(戰車)로 추정하고 있는 병마용 갱 내에서 출토된 차량들의 바퀴간 너비가 1.1m-1.5m로 일정치 않다는 것도 의문점이다. 진시황이 6국을 통일한 직후 화폐와 문자, 도량형을 통일시켰다는 점은 이미 익히 알려진 사실. 진시황은 그러면서 용이한 전술 운용을 위해 전차의 너비 역시 통일하도록 지시했다. 다소의 오차가 있을 수 있음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너비가 제각각인 것은 이 차량들이 진시황의 전차가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한다.
용맹무쌍하기로 이름났던 당시 진나라 병사들과는 달리 무사용들은 극히 일부만 젊은 청년들의 모습을 하고 있을 뿐 대부분 수염을 기른 늙은이들의 형상에 우울하고 기운 없는 표정을 짓고 있는데 이 역시 진시황의 순장 대오로 보기에는 무리라는 지적이다.
▲진시황 병마용갱
▲진시황 병마용갱
그럼 병마용의 실제 주인은 누구일까. 그는 거리낌 없이 진시황의 고조 할머니로, 강력한 섭정을 펼쳐 '2천년 전의 서태후(西太后)'라고 불리는 진나라 선태후(宣太后)를 내세운다. 초나라 왕족으로 진나라 혜문왕(惠文王)과 결혼한 그를 병마용의 주인으로 삼을 경우 갖가지 의혹들이 일거에 해소된다는 것이다. 진시황의 친위군단이 아닌 선태후의 수행원들이었기 때문에 투구를 쓰지 않고 나이가 들어 보이는 것이 당연하고 선태후가 죽기 전에 순장을 요구했기 때문에 출토된 병마용들의 표정이 어둡다는 주장이다. 차량의 너비가 통일되지 않았던 것 역시 선태후가 진시황의 도량형 통일 이전에 묻혔으니 당연하다는 논리다.
그러나 반론 또한 만만치 않다. 진나라 사병들은 스스로 군복을 장만해야 했기 때문에 군복의 색상이 제각각일 수 밖에 없었고 정밀성이 떨어졌던 당시 제조 기술상 차량 너비의 오차는 충분히 있을 수 있다는 것이 고고학자들의 반박이다. 주류 고고학자들의 부정에도 불구하고 병마용이 진시황의 친위군대라는 정설에 의문을 제기하고 나서는 재야 학자들이 계속 늘고 있어 병마용의 실제 주인을 둘러싼 논쟁은 쉽게 가시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09. 8. 4>
'◈실크로드문화순례◈ > 서안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서안 진시황 동거마(铜车马) (0) | 2009.09.19 |
---|---|
중국 서안 진시황 병마용(兵马俑) (0) | 2009.09.19 |
중국 서안 진시황릉(秦始皇陵, Qínshǐhuánglíng) (0) | 2009.09.19 |
중국 서안 진시황릉(秦始皇陵) 모형 (0) | 2009.09.19 |
중국 서안 반파유적(半坡遗迹) (0) | 2009.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