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복천동 출토 갑옷ㆍ투구ㆍ목가리개
<부산박물관복천분관>
무기는 그 기능에 따라 크게 공격용과 방어용으로 나뉘어진다. 공격용 무기에는 칼, 창, 활 등이 있고 방어용 무기에는 갑옷, 투구, 목가리개, 방패 등이 있다. 방어용 무기 가운데 갑옷은 신체의 중요 부분인 가슴과 등을 보호하는 실전용이지만 한편으로는 권력의 상징물로서도 이용되었다. 갑옷에는 여러 모양의 철판을 연결하여 만든 갑옷(板甲)과 비늘을 끈으로 연결한 비늘갑옷(札甲)이 있다.
▲갑옷(板甲, 4세기 복천동 46호분)
▲갑옷(縱長板釘結板甲, 5세기 복천동 10호분)
판갑은 주로 보병이 입는 갑옷으로 처음에는 짐승의 가죽을 엮거나 뼈나 나무를 깎아서 만들었으나 삼국시대에 들어오면 철판으로 만들게 되었다. 판갑은 철판의 형태와 철판을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몇가지로 나누어진다. 철판은 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이 있고, 이들의 결합 방법은 못을 박거나 가죽끈으로 연결한다.
철제 갑옷이 처음으로 만들어진 4세기 중엽에는 부산, 김해, 경주 등 영남의 동남지역에서 먼저 나타난다. 이 때의 갑옷은 직사각형의 철판을 세로로 잇대고 가죽끈으로 연결한 것이었다. 그러나 4세기 후반 부터는 철판의 종류가 다양해질 뿐만 아니라 못 또는 가죽끈으로 연결한 갑옷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갑옷의 앞부분이나 뒷부분에 철판을 고사리모양으로 오려붙여장식을 하기도 하며, 규모가 큰 무덤에는 2~3벌의 갑옷이 나오기도 한다. 5세기대가 되면 갑옷이 전 영남지역으로 확산 발전되는데, 이것은 이 때 각 지역 간에 전투가 치열하게 전개되었음을 시사한다.
▲투구ㆍ목가리개ㆍ갑옷(胄ㆍ頸甲ㆍ板甲, 4세기 복천동 38호분)
▲갑옷(縱長板釘結板甲, 4세기 복천동 57호분)
비늘갑옷은 일정크기의 쇠비늘을 가죽끈으로 꿰메어가로로 연결, 고정시키고, 위아래로는 늘어뜨려 연결하여 활동하기 편하도록 한 갑옷인데, 주로 기병들이 입었다. 이 비늘갑옷은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잘 그려져 있다.
기마병의 신체를 보호하는 방어구로는 갑옷 되에도 투구와 목가리개가 있다. 투구는 기마병의 머리를 보호하는 것으로 모양과 철판의 종류에 의해 종장판투구(縱長板胄), 만곡종장판투구(彎曲縱長板胄), 차양투구(遮陽胄), 충각부투구(衝角付胄), 관모형복발투구(冠帽形伏鉢胄) 등으로 나누어진다. 종장판투구는 반달모양인데 안쪽으로 휜 철판 수십매를 가죽끈으로 연결한 것으로 김해 예안리 150호 무덤의 투구가 대표적인 예이다. 만곡종장판투구는 종장판투구와 비슷하지만 S자형으로 구부린 철판 수십매를 가죽끈으로 연결하고 윗부분에 반달모양의 복발을 얹은 것으로 복천동 22호, 11호 무덤의 투구 등 현재까지 발견된 투구 중에서 가장 많다.
▲투구(縱長板伏鉢胄, 5세기 복천동 11호분)
▲투구(縱長板伏鉢胄, 5세기 복천동 21호분)
▲투구(縱長板胄, 5세기 복천동 93호분)
차양투구는 반달모양의 몸통 앞에 반원형의 창을 붙인 것으로 동래 연산동 고분군에서 나온 것이 있다. 충각부투구는 전체 모습이 살구씨 모양이고 옆 모습이 반타원형인데, 투구 윗부분에서 앞부분에 이르는 밥주걱 모양의 복발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고령 지산동 32호 무덤의 투구가 대표적인 것이다. 관형복발투구는 윗부분에 타원형의 복발이 있고 그 위에 철제 또는 금동제의 관모영 볼발을 붙인 것으로 합천 반게제 고분 가-A호 무덤의 투구가 대표적인 것이다. 목가리개는 사람의 목을 보호하는 갑옷으로 판갑옷에 붙어있는 것과 별도로 만들어진 것이 있다.
갑옷과 별개로 만들어진 목가리개는 비늘갑옷의 부속 갑옷으로 크기가 다른 구부린 철판 수십매를 못 또는 가죽끈으로 연결하여 만든 것으로 복천동 21호, 22호, 11호 무덤, 남원 월산리 고분군에서 나온 것이 있다. 판갑옷에 붙어있는 목가리개는 직사각형의 철판을 휘어 목을 가리거나 수매의 철판을 연결하여 만든 예도 있다. 경주 구정동 고분, 복천동 10호 무덤 등에서 판갑옷에 붙은 채로 나왔다.
▲목가리개(頸甲, 5세기 복천동 11호분)
▲목가리개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 > 낙남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해 화정 출토 독널(瓮棺) (0) | 2009.01.11 |
---|---|
마산 진동 출토 독널(瓮棺) (0) | 2009.01.11 |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 (0) | 2009.01.08 |
부산 복천동 출토 큰항아리(大壺) (0) | 2009.01.07 |
부산 복천동 출토 다리달린뚜껑사발 (0) | 2009.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