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삽교석조보살입상
삽교석조보살입상은 고려시대의 지방화된 불상 양식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덕산온천의 동남쪽 수암산(秀巖山)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머리에는 6각형의 보관을 쓰고 있으며, 네모난 얼굴은 소박한 미소를 머금고 있다. 귀는 큰편이며 신체는 돋을새김되어 있으며 간략한 선으로 천의(天衣)를 표현하였다. 오른손에 쥐고 있는 지팡이는 두 다리 사이로 길게 내려와서 대석(臺石)까지 이루고 있다. 소박하지만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2개의 돌을 조립하여 만든 큰 불상이다. 이 보살상은 목이 부러졌었으나, 지금은 시멘트로 접착시켜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장승처럼 보이는 상으로 신체의 비례와 입체조각에 대한 배려가 거의 없다.
머리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는 네모진 관 위로 6각의 갓[笠]이 얹혀 있는데 원래는 보개(寶蓋)도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이 갓과 보개를 갖춘 형식의 불상과 보살상은 고려시대 이후의 조상에서 나타나는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모서리를 둥글게 깎아 만든 넓적한 얼굴에 초승달 같은 눈썹이 인상적이다. 코와 입술의 일부가 떨어져나가 얼굴 표정은 잘 알 수 없지만 살이 약간 오른 두 뺨과 도톰한 턱의 윤곽에서 장인의 솜씨를 짐작해볼 수 있다. 귀는 매우 두텁고 어깨까지 늘어져 있는데 귓불 가운데에 세로로 타원형의 구멍을 새긴 흔적이 있다.
법의는 통견(通肩)이며 두꺼운 돋을새김으로 옷주름을 투박하게 표현했다. 오른손 모습은 명확히 알아보기 어렵지만 왼손은 엄지손가락과 셋째손가락을 맞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미타여래의 구품인(九品印) 가운데 중품하생인(中品下生印)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이와 같이 머리에 관을 씌운 장승과 같은 형태의 조각은 대체적으로 충청도지역에 많이 남아 있어 많은 관심을 끌고 있으며, 그밖에 당진 안국사터석불입상이나 괴산미륵리석불입상 등이 이러한 계통의 불상에 속한다.
▲삽교석조보살입상
▲삽교석조보살입상
▲삽교석조보살입상
▲삽교석조보살입상
▲삽교석조보살입상
▲삽교석조보살입상
▲상호
▲상호
▲보살입상
▲보살입상
<2008. 8. 3>
'◈한국문화순례◈ > 내포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산 화전리 사면석불 (0) | 2008.09.04 |
---|---|
예산 남연군묘(南延君墓) (0) | 2008.09.04 |
홍성 신경리 마애불입상 (0) | 2008.09.03 |
홍성 용봉사 마애불입상 (0) | 2008.09.02 |
홍성 용봉사(龍鳳寺) (0) | 2008.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