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전흥법사터 염거화상 부도
<국립중앙박물관>
염거화상 부도는 통일신라 말과 고려시대 부도의 전형인 팔각원당형 부도의 가장 초기 양식으로 알려져 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원주 흥법사터에서 일본으로 반출해 가려다실패한 후 1914년 경부터 서울 탑골공원에 두었다고 전한다.
해방 후 학자들이 흥법사터를 조사하였지만 거기서 반출되었다는 뚜렷한 증거를 찾을 수 없어 현재로서는 원래 있던 곳을 알지 못하고 있으며 '전 흥법사터 염거화상 부도' 로 부르고 있다.
*염거화상 부도
*염거화상 부도
*염거화상 부도 상대석
*염거화상 부도 몸돌
*염거화상 부도 지붕돌
*몸돌의 문비
*문비 속의 자물쇠
*몸돌의 신장상
*몸돌의 신장상
*문비
*몸돌의 신장상
*몸돌의 신장상
<2006. 1. 15>
'◈한국문화순례◈ > 한남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화성 창룡문 일곽 (0) | 2006.01.30 |
---|---|
원주 거돈사 원공국사 부도 (0) | 2006.01.28 |
원주 흥법사 진공대사 부도 (0) | 2006.01.27 |
원주 흥법사 진공대사 비문 (0) | 2006.01.26 |
여주 고달사터 쌍사자 석등 (0) | 2006.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