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루무치 홍산공원 임칙서기념상(林则徐記念像, Línzéxú)
원조루에서 더 안쪽으로 들어가면 아편전쟁의 원인이 된 2만 상자의 아편을 불사른 흠차대신 임칙서의 동상이 서 있다. 청나라 말기 영국은 중국에서 홍차를 수입했는데, 이 차가 영국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엄청난 수입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제대로 물건을 팔지 못하던 영국이, 고심끝에 인도에서 들여 온 목화와 아편을 중국에 팔았다. 아편은 일반인은 물론 군인들까지 빠른 속도로 퍼져갔다. 1830년 무렵, 아편 때문에 여러 사회문제가 대두하자 황제가 아편금지령을 내렸지만 아편 맛을 본 사람들에게 속수무책이었다. 황제는 마지막 방법으로 임칙서를 흠차대신(欽差大臣)으로 임명하고 광둥성(廣東省)에 파견하여 아편 수입을 금지하게 하였다. 임칙서의 아편 근절책은 강경일변도였다. 외국상인들이 가지고 있던 아편을 무자비하게 몰수하여 불태우고, 아편을 수입하지 않겠다는 서약서까지 제출하도록 했다.
비위가 단단히 상한 영국은 임칙서를 빌미로 삼아 그의 파면을 요구하며 아편전쟁(1839~42)을 일으켰다. 영국군의 승리로 임칙서는 신장성 북부의 이리(伊犁)로 좌천되었다. 1842년 12월 이리에 도착한 그가 벌인 대표적 사업은, 수로를 개척하고 하천을 정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공사로 인해 우루무치, 투르판, 하미, 쿠차 등 사막의 도시에 풀들이 하나 둘 자라며 푸른 도시로 바뀌게 되었다. 1845년 임칙서는 산시성과 깐수성을 다스리는 산깐총독(陜甘總督)으로 임명되어 신장을 떠났다. 그곳에서 조용히 임무를 수행하고 있던 그는 얼마 후 베이징으로 소환되어 요직을 맡게 되었으며, 윈난 성[雲南省]의 이슬람교도 반란을 진압한 공로로 태자태부(太子太傅)에 임명되었다. 1850년 태평천국운동을 진압하러 가던 도중에 병사했다. 세월이 오래 지난 후 임칙서는 민족영웅으로 추대되어 홍산공원에 석상을 세워 그의 선정을 기리고 있다.
▲임칙서상
▲임칙서상
▲임칙서상
▲임칙서상
<2012. 8. 11>
'◈실크로드문화순례◈ > 천산북로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우루무치 홍산공원 거리공연 (0) | 2012.12.24 |
---|---|
중국 우루무치 홍산공원 홍산탑(弘山塔, Hóngshāntǎ) (0) | 2012.12.23 |
중국 우루무치 홍산공원 원조루(远眺楼, Yuǎntiàolóu) (0) | 2012.12.22 |
중국 우루무치 홍산공원(紅山公園, Gōngshān gōngyuán) (0) | 2012.12.22 |
신강위구르자치구의 성도 - 중국 우루무치 상점 (0) | 201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