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신륵사(神勒寺)
신륵사는 신라 때 처음 지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전설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 때 원효가 아홉 마리의 용이 승천한 연못을 메우고 창건했다고 한다. 절 이름의 유래로는 두 가지 이야기가 있다. 고려 우왕 때 왕사 나옹(王師懶翁)이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용마를 신비한 굴레로 잡았다는 이야기와 고려 고종 때 승려 인당(印塘)이 사나운 용마를 신력으로 제압했다는 이야기이다. 창건 설화와 이름에 얽힌 이야기에 모두 용이 등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설화에 나타난 신력과 굴레에서 신륵(神勒)이라는 이름이 나왔다고 전해진다.
신륵사에서는 고려의 고승인 나옹이 머물러 절이 크게 확장되었다. 나옹은 1376년(우왕 2)에 신륵사에서 사망하여 이색이 이곳에 대장각을 짓고 《대장경》을 봉안했다. 지금은 나옹과 나옹의 제자인 무학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1379년(우왕 5)에 각신(覺信)·각주(覺珠) 등이 이 절을 크게 짓고, 나옹의 부도(浮屠)를 세웠다. 조선시대에는 1440년(세종 22)에 중수하였으며, 1473년(성종 4)에 세종의 능인 영릉을 여주로 이장하면서 영릉의 원찰로 신륵사가 지정되었다. 이때 국가에서 확장하여 크게 중수되어 사찰명은 보은사(報恩寺)로 바뀌었다. 1671년(현종 12)에는 계헌(戒軒), 1702(숙종 28)에는 위학(偉學)·천심(天心) 등이 중수하였다. 원찰로서의 의미가 약해진 뒤 신륵사라는 이름으로 돌아왔다.
이 절에는 다층석탑(보물 225호)·다층전탑(보물 226호)·보제존자석종(普濟尊者石鐘 : 보물 228호)·보제존자석종비(普濟尊者石鐘碑 : 보물 229호)·대장각기비(大藏閣記碑 : 보물 230호)·보제존자석등(보물 231호)·조사당(祖師堂 : 보물 180호) 등의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일주문
▲범종각
▲삼성각
▲삼성각
▲적묵당 굴뚝
<2010. 1. 18>
'◈한국문화순례◈ > 한남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0) | 2010.02.27 |
---|---|
전탑순례 -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0) | 2010.02.26 |
여주 고달사터 부도 (0) | 2010.02.22 |
여주 고달사터 귀부 (0) | 2010.02.21 |
여주 고달사터 원종대사 혜진탑비 (0) | 2010.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