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청풍 납석제불보살병립상
<국립청주박물관>
6세기 백제시대의 불상으로 높이는 16.2cm이다. 오른쪽의 여래입상은 두부가 크게 파손되어 상호(相好)나 그 세부를 전혀 알 수 없고 육계(肉髻)의 흔적을 짐작할 뿐이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없으며 법의는 통견(通肩)이고 의습(衣褶)은 복부에 한 줄기 음각선이 보일 뿐이며, 무릎부분에 늘어진 자락은 융기선으로 처리되었다. 왼쪽의 보살입상도 상호에 마멸이 심하여 양안부(兩眼部)만이 어렴풋이 보인다. 머리에는 삼산관(三山冠)을 썼고 목에는 역시 삼도가 없다. 대좌는 양쪽이 다 같이 높직하나 연판(蓮瓣) 등의 장식은 없다. 두광(頭光)은 원형으로 보주형(寶珠形)인 여래상의 두광과는 다르다. 배면(背面)은 산형(山形)무늬를 유려하게 조각하였다. 하단 중앙에 촉이 있는 것으로 보아 어떤 곳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납석제불보살병립상(백제)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 > 중원서원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 운천동 지장보살얼굴 (0) | 2010.01.14 |
---|---|
청주 운천동 금동보살입상 (0) | 2010.01.14 |
괴산 사담리 금동여래입상 (0) | 2010.01.13 |
청주 농촌동 금동여래입상 (0) | 2010.01.13 |
충주 탑평리 당초무늬암막새조각 (0) | 2010.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