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새재 제1관문(주흘관)
문경 조령관문은 고려태조가 경주를 순행차 고사길이성을 지날 때 성주 홍달이 세 아들을 차례로 보내어 귀순하였다는 전설이 남아있는 곳이다. 이 관문은 영남지방과 서울간의 관문이며 또한 군사적 요새지이다. 삼국시대에는 이보다 동쪽의 계립령이 중요한 곳이었는데, 고려초부터는 이곳 초잠을 혹은 새재라고 하므로, 조령이라 이름하여 중요한 교통로로 이용하였다.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왜장 고니시 유끼나가가 경주에서 북상해오는 가토오 기요마사의 군사와 이곳 조령에서 합류했을 정도로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점이었다. 이? 조정에서는 이곳을 지킬 것이라 생각했지만 신립장군은 니미 때가 늦었으므로 충주로 후퇴하였다. 그 후 충주에서 일어난 의병장 신충원이 오늘날의 제2관문에 성을 쌓고 교통을 차단하여 왜병을 기습하였다. 이곳의 군사적 주용성이 재확인되자 군사시설을 서둘러 숙종 34년(1708)에 이르러서야 3중의 관문을 완성하였다.
*제1관문(주흘관)
*제1관문(주흘관)
*제1관문(주흘관)
*제1관문(주흘관)
*제1관문(주흘관)
*성벽
*수문
*연못
*연못
*연못
*지름틀바우
지름틀 바우는 기름을 짜는 도구인 기름틀을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지름틀은 기름틀의 경상도 사투리이다. 참깨, 들깨, 콩 등을 볶아 보자기에 싼 떡밥을 지랫대의 힘으로 눌러서 기름을 짠다. 기름틀은 받침돌과 누름틀로 구성되는데 받침돌 위에 볶은 깨를 올려놓고 두터운 누름틀을 덮어 누르면 기름이 흘러내리게 된다. 이 바위는 기름틀의 누름틀처럼 생겼다 하여 지름틀바우라 불려진다.
*지름틀바우
*조산
조산음 라 그대로 인위적으로 만든 산을 일컫는다. 풍수지리적으로 볼 때 공허하거나 취약한 지점에 조산을 만듦으로써 그곳을 보강하고자 하는 의식이 담겨있다. 문경지역에서는 골맥이 서낭당으로 불리며 마을입구나 경계지점에 세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한 곳이다.
*기암
*계곡
*계곡
<2007. 10. 26>
'◈한국문화순례◈ > 낙서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경 새재 '산불됴심'비 (0) | 2007.11.03 |
---|---|
문경 새재 조령원터(鳥嶺院址) (0) | 2007.11.03 |
김천 수도암 약광전 석불좌상 (0) | 2007.10.04 |
김천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0) | 2007.10.03 |
김천 수도암 동서삼층석탑 (0) | 2007.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