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문경 새재 제1관문(주흘관)

蔥叟 2007. 11. 3. 06:09

문경 새재 제1관문(주흘관)

 

   문경 조령관문은 고려태조가 경주를 순행차 고사길이성을 지날 때 성주 홍달이 세 아들을 차례로 보내어 귀순하였다는 전설이 남아있는 곳이다. 이 관문은 영남지방과  서울간의 관문이며 또한 군사적 요새지이다. 삼국시대에는 이보다 동쪽의 계립령이 중요한 곳이었는데, 고려초부터는 이곳 초잠을 혹은 새재라고 하므로, 조령이라 이름하여 중요한 교통로로 이용하였다.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왜장 고니시 유끼나가가 경주에서 북상해오는 가토오 기요마사의 군사와 이곳 조령에서 합류했을 정도로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점이었다. 이? 조정에서는 이곳을 지킬 것이라 생각했지만 신립장군은 니미 때가 늦었으므로 충주로 후퇴하였다. 그 후 충주에서 일어난 의병장 신충원이 오늘날의 제2관문에 성을 쌓고 교통을 차단하여 왜병을 기습하였다. 이곳의 군사적 주용성이 재확인되자 군사시설을 서둘러 숙종 34년(1708)에 이르러서야 3중의 관문을 완성하였다.

 

*제1관문(주흘관)

  

*제1관문(주흘관)

 

*제1관문(주흘관)

 

*제1관문(주흘관)

 

*제1관문(주흘관)

 

*성벽

 

*수문

 

*연못

 

*연못

 

*연못

 

*지름틀바우

 

   지름틀 바우는 기름을 짜는 도구인 기름틀을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지름틀은 기름틀의 경상도 사투리이다. 참깨, 들깨, 콩 등을 볶아 보자기에 싼 떡밥을 지랫대의 힘으로 눌러서 기름을 짠다. 기름틀은 받침돌과 누름틀로 구성되는데 받침돌 위에 볶은 깨를 올려놓고 두터운 누름틀을 덮어 누르면 기름이 흘러내리게 된다. 이 바위는 기름틀의 누름틀처럼 생겼다 하여 지름틀바우라 불려진다.

 

*지름틀바우

 

*조산

 

   조산음 라 그대로 인위적으로 만든 산을 일컫는다. 풍수지리적으로 볼 때 공허하거나 취약한 지점에 조산을 만듦으로써 그곳을 보강하고자 하는 의식이 담겨있다. 문경지역에서는 골맥이 서낭당으로 불리며 마을입구나 경계지점에 세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한 곳이다.

 

*기암 

 

*계곡

 

*계곡

 

 

 

<2007. 10. 26>

16836